2011년 1월 24일 월요일

올해 주택 경매시장 부산, 울산 인기 높았다

[GRAPH & CHART]로 보는 부동산



올해 주택경매시장 부산, 울산 강세
올해 주택경매시장은 수도권보다 광역시 특히, 부산과 울산 등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12월까지 대법원 경매정보 매각가율 통계를 살펴본결과,올 한해 주택공급부족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부산지역 매각가율은 92.1%로 70%대에서 80% 초반대로 나타난 수도권역보다 10%이상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권은 입주물량 증가로 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경매시장 매각가율도 전국 매각가율 79%보다 유일하게 낮았다.

비아파트 주택상품도 매각가율 부산이 특히 높아
단독다가구나 연립,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매각가율도 수도권보다 대부분 부산및 울산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단독주택도 서울(90.5%) 경기(73.3%) 인천(85.2%) 보다 울산(96.6%)의 매각가율이 높았고 전국 최저 수준인 광주(64.8%)와 비교하면 3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이나 다세대,빌라 등 일반주택도 수도권역에 비해 부산(92.8%)이 특히 높았다. 올해 부산·울산 등 경남권 아파트시장에 물건 부족사태가 지속되면서 매매가격 오름세가 지속되자 저렴한 매물을 원하는 수요가 경매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아파트를 포함 일반 주택 매각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지역 다가구, 오피스텔은 감정가보다 더 비싼 금액에 낙찰돼
울산지역에서는 감정가보다 매각가가 더 높은 낙찰사례가 나타나 경매시장이 열기를 보였다. 주로 임대사업 목적으로 새롭게 조명받은 단독다가구주택이나 오피스텔 등의 매각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형아파트 물량 부족으로 투자수요가 경매시장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입주물량이 급감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반적인 주택시장 분위기가 심상찮다. 내년 주택가격이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경매시장에도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매각가율: (매각가/감정가)*100 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감정가보다 매각가가 더 높은 수치임
※ 평균 : 각 주택상품(아파트, 단독, 다가구, 연립주택,다세대,빌라,오피스텔) 매각가율 평균치
※ 자료 : 대법원 경매정보 용도별 매각통계 2010년 1월~12월 기준

댓글 없음:

댓글 쓰기